아래 내용은 GMIG( Genomic Medicine Interest Group ) 2회 모임 후 관련 내용을 멤버들과 share한 내용으로, 내용의 변경 없이 그대로 여기에 남깁니다.
-------------------------------------------------------------------------------------
2회 모임의 내용 중에 제(금창원)가 지적하고 싶었던 내용이 하나더 있는데, 그것은 바로 IT에 대한 '환상'의 경계 입니다. 박재범 대표님의 발표를 보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는데, 재범 대표님의 발표에서 중요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은 IT의 영역 중 '소비자 중심의 UX / UI 와 관련한 부분'들로 BT에 적용되지 않았던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접근성이 높고, 지속가능한 유용성을 꾸준히 제공하는 IT application이 필요하다는 점 이라고 봅니다.
이런 부분은 인류 역사상 BT에 거의 접목이 된 적이 없는 부분에 가깝다 봅니다. 근접하는 성공으로 한국인 정세주 대표가 뉴욕에서 창업한 Noom의 다이어트앱 정도를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최초엔 running trajectory tracing과 칼로리 소모량 기록용 개인 data log 앱이었으나, 발전하여 지금은 식습관 등이 포함되어 살빼는 목적을 실현시켜주는 앱이 되었고 전세계 user가 1500만명이 넘습니다. )
이런 식의 접근이 Genetics에도 시도가 되어 나가면 엄청난 혁신이 있을거라는 것을 GMIG 참여자 분들이라면 충분히 이해하시리라 생각 합니다.
하지만, Genomics의 연구 관점에서 보자면 이미 최첨단의 IT 기술들이 충분히 적용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BT inspired IT 기술이 IT의 최첨단 기술이 되고 있습니다.
당장 현재 IT 최대 화도 cloud 컴퓨팅만 해도 유전체 데이터 분석이 major application domain으로 활발하게 연구 개발이 되고 있죠( KT에서 GenomeCloud를 베타 테스트 중입니다)
재범 대표님의 발표에서 구글의 Pagerank 알고리즘이 적용된 Gene priotization 연구를 언급하셨는데, 이런 연구는 gene expression 연구 초창기인 2000년대 초반 부터 minor 저널에 심심하면 한번씩 출판되던 내용입니다. 그냥 구글 서치해보면 2005년 논문이 상위에 뜨네요. 왜 이런 논문이 minor 저널에 출판되냐 하면, 당연히 value가 낮기 때문입니다.
즉, 이런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은 fancy한 접근일 수는 있지만, '문제 해결'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방법론 보다 더 나은 해결책을 제시해 주지도 못하는데 그 이유는 간략하게 생물체의 variation은 엄청나기 때문이라는 것 정도만 여기에 언급해 둡니다. Gene expression과 관련해선 FDA의 MAQC( Microarray Quality Control ) 컨소시움의 연구를 통해 이런 점들이 이미 충분히 지적이 되었습니다.
(MAQC 내용을 정리한 제 블로그 글http://goldbio.blogspot.kr/2011/03/20.html )
MAQC는 당시 가능한 모든 통계적 분석법과 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을 gene expression 분석에 적용해 보고, 가장 consistent하고 재현성 높은 분석 기준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미국의 51개 major 유전체 연구기관이 참여한 대규모 study 였습니다.
기대는 뭔가 첨단의 hign-end 방법론이 best 일거라 기대했지만, 그 예상은 처참히 무너집니다. 최고는 초창기 부터 일반적으로 써왔던 fold change ( 그냥 단순히 case-control의 비율) 과 가장 간단한 t-test를 적절히 혼용하는 것이었죠.
재범 대표 님이 발표한 내용 중 network analysis 와 관련된 내용도 있었는데, network analysis 는 네트웍 분석이 바라바시에 의해 중요하게 부각된 초창기 부터 BT가 major application domain 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BT 특히나 bioinformatics에서는 일상적으로 다루어져 오고 있습니다. 바라바시가 쓴 그 유명한 저서 'Linked'에도 현재 테라젠의 박종화 연구소장님의 단백질 구조 도메인의 네트웍 연구가 소개되어 있을 정도 입니다.
심지어 network visualization 소프트웨어 중 최고로 인정되는 것이 바로 요즘 생물학 연구실에서 한명 쯤은 쓰고 있는 cytoscape라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입니다. ( 이는 리로이 후드가 이끄는 ISB 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
사실 BT의 연구 측면에서만 보자면 IT 적 시각을 가진 사람들( bioinformatician )이 해야하는 역할은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 해결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일이라 봅니다. ( 이에 대해서도 일전에 정리해 둔 글을 참고로 링크 합니다http://goldbio.blogspot.kr/2011/02/blog-post.html )
Broad나 Sanger 연구소가 유전체 연구의 최고로 인정받는 이면에는 바로 이런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directing board로 참여하면서 연구의 혁신을 이끌기 때문입니다. ( sanger의 리차드 더빈, 팀 허바드 broad의 토드 골럽 등) 국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유전체 연구를 선도하는 테라젠이나 서정선 교수님이 이끄는 서울대유전체연소(GMI) 등도 훌륭한 bioinformatician( 혹은 cross-functional researcher ) 들의 존재 때문에 선구적인 연구들을 진행할 수 있다고 봅니다.
글이 길어졌는데, 정리해 보면, IT의 UX/UI 기술들이 접목이 되어야 결국 진정한 personal genomics로 갈 수 있고, 대중화될 수 있다는 점. 하지만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이미 충분히 첨단의 IT 기술이 적용되고 있고, 필요한 내용들은 대부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application들이 존재하니, 활용을 하고, IT 기술에 대한 환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는 점, 그리고 fancy한 기술 보다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새로운, 참신한 idea를 간단한 IT 기법들로, crude한 상태라도 적용해보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들을 나누고 싶었습니다
전 프로그램들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ReplyDelete정형화된 생정보 처리 플랫폼 하나 아직 국내에는 없으며
(물론 작게는 여기저기 가지고 있는데 제대로 운영되고 돌아가는 것 하나 보지 못했습니다. Kisti Bio Works? KRIBB BioCommunity? 기타 생정보 기업 및 관련 학과 나온 온 것들? .... )
공개된 분석 방법들을 자동화 하는 스크립트도 너무 산만하고 산재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분석 클러스터링 하는 것도 최적화에 대한 생각보다 그냥 막 돌리고
IT를 인정하지 않는 생정보 학자들이 그런 생각을 한다면 매우 위험한 것 같습니다.
뭐 카이스트니 어디니 IT를 잘 한다는 생정보 학자들도
말로는 엄청난데 결과를 제대로 보여주는 사람을 보지 못했습니다.
중국은 분위기가 많이 다릅니다.
사회적 시스템도 많이 다르긴 하지만 관련 전문가들은
IT를 인정하고 융합이 되는 많은 이들을 봤습니다.
엄청난 경쟁력이죠.
de novo assembly 같은 것은 정보학를(IT) 하는 사람들이 더 잘 만들 수 있습니다.
경영정보학, 관광정보학, 통계학 등 전문 정보학를 하는 사람들은 업무 로직만 파악하면
뭐든 최적화 하여 개발이 가능합니다.
이런 기술을 배울 수 없다면 이런 기술을 가진 사람과 빨리 융합하여야
앞서가는 BT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생각을 이미 가지고 다른 시도를 하고 있는 집단도 국내에 이미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네임벨류로 뭉친 집단은 앞으로도 많은 시행 착오를 겪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 가장 BT를 잘 하는 곳은 공개된 것을 잘 쓰는 곳이 아니라
공개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곳이라 생각합니다.
당장은 공개된 것을 잘 정형화 시켜 잘 쓰기만 해도 국내에서는 BT를 이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his comment has been removed by the author.
ReplyDelete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그에 대한 제 답변은 윗글 '생물정보학은 IT+BT가 아니다' http://goldbio.blogspot.kr/2013/04/bt-it_8.html 라는 글이 대신할 수 있을 듯 하니, 한번 일독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ReplyDelete언급해 주신 내용들 중 최적화가 필요하거나, 혹은 정해진 개발과 같은 것은 당연히 IT 전문가들이 더 잘 할 수 있다는데 동의합니다.
글에 적어둔 내용은 '생물학 문제를 더 잘 풀기 위해서'에 관한 내용입니다. 소프트웨어 전문가가 정해진 개발 디자인에 맞추어 '금융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은 잘 할 수 있겠지만, 금융 문제를 잘 풀 수는 없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이글을 받아들여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